leelee.log
vmware에 서버 구축하면서 참고한 사이트 본문
이건 진짜 나 보라고 만든 포스팅이기 때문에 좀 정신이 없어도 수정을 하지 않았다. 앞으로 하면서 계속 참고한 사이트가 있으면 추가할 예정. 이렇게 모아두면 나중에 다시 보기 편리하다.
가장 기본적으로 참고한 사이트
https://rorlab.gitbooks.io/railsguidebook/content/appendices/ubuntu16server.html
git bash로 ssh 접속이 안 되어서 참고한 사이트
지금은 브릿지를 걸어뒀는데 서버 운영하는데 자꾸 ip 주소가 바뀌면 안되니까 고정 ip를 걸어둬야 할 것 같다. 내일 회사에 가서 ip가 바뀌었을 때 실제로 가상머신의 ip도 바뀌었는지 확인해보기 (바뀌었을 것 같다)
이것말고도 react를 nginx에 배포하는 방법, react의 npm run build 때문에 nodejs와 npm을 설치하는 방법을 찾아봤다.
팀장님께 설명을 들었을 때 Ubuntu는 운영체제 즉 하나의 컴퓨터이다. (모든 프로그램들을 다 담고 있음). 그리고 서버라고 해서 무작정 서버만 있는게 아니고 app server와 web server 두 종류가 있다. 내가 맨날 jar로 배포하는 그 server는 app server다. 추가적인 데이터 가공이나 그런 변화를 주는 역할을 하는 게 app server다. web server는 이제 밖에서 요청이 들어오면 (http의 경우 80, https는 443으로 듣고 있다) 여러개 떠있는 app server 들에게 이거 너한테 왔다 하면서 request를 나누어준다. web server가 포트번호 무작위로 만들어서 준다. 이런 일을 하는게 대체 뭔지 싶으면 /etc/nginx의 conf 파일을 보면 대충 감이 온다.
web server는 정말 단순한 일을 한다. request분배와 정적인 파일 (이미지나 js 등)을 가지고 있으면 멀리 가지 않고 바로 request를 해결해서 clinet에게 보내주기 때문에 응답속도가 빠르다고 한다. 서버 튜닝할 때 알고있으면 좋을 듯 하다.
보통 업무 환경에서는 aws ec2로 ubuntu 운영체제를 하나 받고, nginx 를 설치하고 (nginx가 web server다) 그 위에 app server를 올린다. 올린다는게 거창한 뜻이 있는게 아니라 /etc/nginx 안에 있는 conf 파일을 수정해서 연결한다는 뜻이다.
'개발 >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해야 하는 커맨드 sed, grep, awk (0) | 2020.03.24 |
---|---|
쓰면 고수 같아보이는 리눅스 커맨드 (0) | 2020.03.13 |